예禮는 오고가는 것을 소중히 여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3-06-02 10:15 조회2,975회

본문

우리는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산다는 것은 곧 너와 내가 서로 관계하는 것이다. 부모 형제 친지 뿐아니라 대리 상하 노소 거래관계에 이르기까지 그물처럼 엮인 복합적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관계를 떠나서 살 수 없다. 관계를 더욱 화목하고 질서 있게 만드는데 윤활유 역할을 하는 것이 다름아닌 예. 예가 없으면 무례이고 잃어버리면 실례, 갖추지 못하면 결례이다. 모두 실천적 윤리에 어긋나는 행위이다.

 

요즈음 우리사회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것 중의 하나가예의가 없다라는 말이다. 대표적으로 행정관료, 여야 국회의원, 정치지도자 가운데도 언론기자의 질문에예의가 없다며 답변을 거부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그 이유나 원인, 내용, 태도에 대해 논란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언론측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대리 질문했다는 주장을 강조하곤 한다. 그러나 사회 일각에서의 누구에게 예의가 없다 하는가, 적반하장 아닌가라는 빈축은 진정 무례한 사람이 누군가? 찾게 만드는 구실이 된다. 기업상사와 부하직원, 스승과 제자, 아파트 주민과 관리사무소 직원, 노인층과 젊은층, 남성과 여성, 피해자와 가해자 간에도 예의가 없다라는 말이 적지 않게 오고간다. 특히 상대적 약자나 아랫사람에게는 지나칠 정도로 예의가 없다고 한다는 불만도 많다. 당위야 어떻든 당사자에게는 매우 불쾌한 일임에 틀림없다.

 

는 법규와 달리 강제성이 없는 사회윤리적 행동규범이다. 종교의식에서 시작됐다고는 하나 일상 의식은 물론 구성원 간의 화목,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의무, 도리, 제도와 풍습 등을 포괄하는 매우 넓은 의미를 가진다. 좌전 左傳에는 예는 나라의 줄기요 몸의 줄기라고 했다. 예를 지켜야 나라도 사회도 자신도 모두 건전해진다는 의미다. 비록 강제성이 없다 하더라도 예에는 관혼상례와 같이 일정한 준거가 되는 예법과 예식, 태도나 몸가짐인 예의, 절도가 필요한 예절이 있다. 모두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특히 절도를 지키고 넘지 않아야 한다. 번잡한 예는 오히려 혼란을 잃으키기 쉽기 때문이다..

 

얼마 전(2020.7) 모 언론이 보도한 우리나라 성인들의 나와 남의 예의를 보는 조사결과는 큰 시각차이가 있음을 알려준다. 나는 예의바른가, 남들은 예의바른가라는 별개의 질문에 그렇다라는 응답비중이 각각 48%, 29%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남들은 예의를 지키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주 많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예의의 잣대가 공평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아니다(48%)가 그렇다(8%)보다 월등히 많았다. 복수응답으로 질문한 예의에 미치는 영향잣대는 나이(63%), 상사 등 직장 내 권력 관계(47%), 비즈니스나 서비스에서 갑을 관계(40%), 성별(26%) 순으로 나타났다. 공평한 잣대를 세우고 상대적으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부터 솔선해야 우리사회 예가 바로 선다는 의미를 보여준다 하겠다.

 

일찍이 예를 모르면 사회에서 설 수 없다고 공자는 말했다. 그러나 예는 일방만이 아닌 서로 오고가는 양방적인 덕목이다. 때문에 반례 역시 중시해야 한다. 사의, 경의, 경례의 표시가 있어야 한다. 고전인 예기는 이렇게 전한다. 예는 서로 오고가는 것을 존중한다. 가기만 하고 오지 않고, 오기만 하고 가지 않는 것은 예가 아니다우리는 보다 윤리적인 사회구현을 위해 예를 존중하고 지켜야 한다. 국보1호 남대문을 숭례문이라 부르지 않는가.


글 : 세종교육원
박종선 원장